목차
- 섭식장애(feeding disorder) 뜻
- 이식증(pica) 증상 및 특징
- 이식증 유병률 및 원인
- DSM-IV에 나타나 있는 이식증의 진단기준
- 이식증 치료
섭식장애(feeding disorder) 뜻
기질적 질병은 없는데도 음식을 거부하거나 극도로 변덕스럽거나 적게 먹거나 게걸스럽게 많이 먹는 경우를 말한다. 섭식장애가 정신적 장애의 증상들로 간주된 것이 최근의 일이다. Vandereycken & Van Deth는 섭식과 단식은 정신건강 문제나 보기 드문 문화적 관습 등과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유아기나 초기 아동기에 나타나는 섭식장애는 크게 3가지 하위유형 즉 이식증(pica), 반추장애(rumination), 유아기 및 아동기 초기의 급식장애(feeding disorder)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오늘은 이식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식증(pica) 증상 및 특징
흙, 쓰레기, 종이, 머리카락, 페인트 조각, 줄, 나뭇잎, 조약돌과 같은 먹을 수 없는 물질을 한 달 이상 지속적으로 먹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섭식 장애는 유아기나 초기 아동기에 발생한다. 섭취하는 물질은 나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유아와 아동은 종이, 헝겊, 머리카락, 끈, 회반죽, 흙, 페인트 조각 등을 먹고 나이 든 아동은 동물의 배설물, 모래, 곤충, 나뭇잎, 자갈 등을 먹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식증 행동은 환경적 박탈이나 정신지체의 정도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식증 유병률 및 원인
유병률
어린 아동들이 많이 나타내는 경우이며 1-6세 사이의 아동 중 10-23%에서 나타난다. 연령이 증가하면서 점점 사라지고 성인에게서는 드문 현상이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임신부에서, 소아의 경우는 정신지체, 뇌손상, 방임아동(neglected child)에게서 복합되어 나타난다. 시설에 수용된 정신지체아의 1/4에서 이식증을 보인다. 여아의 입맛이 더 까다롭다고 하였다. 이것이 이후에 섭식장애와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대한신경정신의학회 편, 1998).
원인
이식증의 병인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식증은 비타민 미네랄 결핍 때문이라는 임상 연구자들의 연구에 근간을 두고 있다. 또 유아나아동의 지도감독을 적게 하거나 자극을 적게 제공하는 것이 이식증을 발병케 하는 병인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다른 입장에서의 병인에 대한 조명은 첫째, 모자관계의 이상으로 아동이 구순적 욕구의 충족을 얻기 위하여 둘째, 가정의 경제적 빈곤, 부모의 무지와 무관심으로 영양 결핍으로 음식이 아닌 것과 구분 못하는 경우 셋째, 임신부가 흙을 먹는(geophagia) 사회 문화적인 가치와 편견이 내재화되어 있는 것 등이다.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충족되지 못한 구순기의 욕구 반영이라고 한다. 이식증 아동의 가정환경의 심리적 환경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식은 영양결핍, 철분결핍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것으로 여러 임상연구들이 밝히고 있다. 이외 가족들에서 이식증이 수반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소도 연관성이 있다고 조명하고 있다.
DSM-IV에 나타나 있는 이식증의 진단기준
- A. 적어도 1개월 동안 비영양성 물질을 지속적으로 먹는다.
- B. 비영양성 물질을 먹는 것이 발달 수준에 부적절하다.
- C. 먹는 행동이 문화적으로 허용된 관습이 아니다.
- D. 먹는 행동이 정신장애(예 : 정신지체, 전반적 발달장애, 정신분열증)의 기간 중에 흔히 나타난다. 환경적 박탈이나 정신 지체의 정도와 관련되어 있다.
이식증 치료
치료적 접근에 관한 연구물이 제한되어 있어 이식증의 성공적 치료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식증을 가진 아동에 대한 임상적 개입은 아동이 방안을 탐색하거나 물건을 가지고 노는 것 등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양육자가 강화를 주는 방법을 보여주는 조작적 조건화 과정을 강조한다. 미소, 큰소리의 웃음, 간지럽히는 것을 포함하는 긍정적인 형태의 관심, 부가적인 자극을 제공하면 효과적이다. 이 장애는 양육자와의 부적절한 상호작용과 연관된다. 양육자는 아동의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위험한 물질을 제거하고, 안전하게 보관하여야 한다.
아동이 이상한 먹을 때 치료자는 큰 소리로 언어적인 꾸중("안돼")을 하고 그 행동을 제거하기 위해 아동의 코에 냄새나는 암모니아 병을 댈 수도 있다. 아동의 행동이 비활동적이라면 적절한 행동에 대해 강화를 제공하는 것은 치료적 접근이 되는 것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 뜻 의미 성격장애 뜻 의미 특징 (0) | 2023.09.06 |
---|---|
틱장애 만성 운동 및 음성 틱 장애 증상 특징 진단 기준 치료 (0) | 2023.08.02 |
음성장애 증상 특징 진단 기준 치료 (0) | 2023.07.24 |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표현성 언어 장애 증상 원인 진단 기준 (0) | 2023.07.23 |
학습장애 난서증 쓰기 장애 증상 뜻 특징 진단 기준 치료 (0) | 202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