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발모광 금쪽 같은 내 새끼 발모광 뜻 치료 진단 기준

by 심리상담사 브레드 2023. 7. 13.
반응형

얼마 전에 금쪽같은 내 새끼에 자신의 눈썹을 뽑아서 먹는 발모광 금쪽이가 출연을 해서 사람들에게 충격을 줬었다. 발모광은 무엇인지 특징부터 치료까지 하나씩 살펴보자.

발모광(frichotillomania) 특징

자신의 털(hair)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머리털을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뽑기 때문에 대머리가 되어 있다. 털을 뽑는 행동을 하기 전에는 긴장이 증가되나 머리털을 뽑는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할 때는 긴장감이 높아진다. 머리털을 뽑는 행동을 할 때마다 쾌락, 만족감, 해방감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털을 뽑는 것이 피부의 염증, 망상, 환각에 의한 것일 때는 이 진단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발모증을 지닌 사람들은 사람의 애정과 신체접촉에 대한 강한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발모행동은 처벌적인 어머니와 다시 결합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해석한다. 발모행동은 자기에 대한 증오심, 자기를 없애고자 하는 마음 또는 자기가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에 대한 보상을 상징으로 하고 있다.

발모광 유병률 및 원인

유병률

소아기에 시작된다. 성인에서 발병되면 정신병적 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성비로는 여자가 병원을 찾아오는 수가 더 많은 편이다. 가족력이 있었다고 한다. 강박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우울장애에서도 병발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원인

생물학적 관점으로 강박장애와 유사하게 대뇌의 serotonnic장애가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가 있다. 모자관계의 이상, 고립공포, 최근의 상실경험, 우울한 상황 등의 스트레스 외에도 약물중독이 병인이 된다. 발모의 일차적인 목적이 자기 자극이라고 했다. 심리학적 입장에서는 스트레스와 연관된 여러 복합적인 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모자관계, 고립아에 대한 두려움, 중요한 대상의 상실 등이 병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발모광은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중 어느 단계에 고착되었거나 퇴행된 결과로 설명되고 있다. 기타 강박증이나 우울증의 기전과 자기 자극(self-stimulus) 이론을 관련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DSM-IV에 나타나 있는 발모광의 진단기준

  • A. 반복적으로 자신의 털을 뽑아 현격한 털의 상실을 초래한다.
  • B. 발모행동 직전이나 이를 참으려고 시도할 때 긴장감이 증가한다.
  • C. 발모행동 후에는 즐거움, 만족감, 긴장완화가 있다.
  • D. 장애는 다른 정신질환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예 : 피부과 상태)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일반적, 의학적 상태(예 : 피부과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다.
  • E. 장애는 임상적으로 심한 고통이나 사회적, 직업적 혹은 다른 중요한 기능 수행분야에 장애를 초래한다.

4. 발모광 치료

적극적 심리치료(positive psychotherapy)가 치료에 성공적 효과가 있다는 데 학자들의 의견이 일치되고 있다. 최면요법 또는 biofeedback 등을 이용한 행동치료, 가족관계에 기초를 둔 정신역동적 정신치료(psychodynamicpsychotherapy)와 분석적 정신치료(psychoanalytic psychotherapy)가 사용 되고 있다. 행동치료에서는 환자 스스로 발모행동을 조사하고 주위를 기울이게 하는 자기 관찰법(self-monitoring)과 발모행동 충동이 작용될 때 다른 행동을 하게 하는 습관 반전법(habit reversal)을 훈련시킨다. 효과를 보지 못하면 약물 시도가 필요하다.

반응형